<p></p><br /><br />개인정보가 나도 모르는 사이에 유출되고 있다면 당연히 불안하죠. <br> <br>질병관리본부가 A형 간염으로 문제가 된 조개젓 식당 고객의 카드기록을 조회했습니다. <br> <br>전염병 확산을 막기 위해서였다지만..<br> <br>동의도 없이 조회를 했고, 통보도 석달이나 지나고 이뤄져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.<br> <br>박건영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 50대 여성 A씨는 어제 카드사로부터 받은 문자를 보고 화들짝 놀랐습니다. <br> <br> 질병관리본부에 금융정보와 신용정보를 제공했다는 내용입니다. <br> <br> 알고보니 A형 간염을 유발한 조개젓을 판 식당에서 지난 4월 식사를 했다고 추적을 당한 겁니다. <br> <br> 간염에 대한 안내도 없이 개인정보를 조회당한 손님들은 분통을 터트립니다. <br> <br>[A씨 / 서울 동작구] <br>"금융정보와 특히 신용정보를 왜 빼갔는지. 왜 A형 간염에 대한 설명도 없는지. 3개월 후에 연락이 온 거잖아요. 너무 황당한 거죠." <br> <br>[박건영 기자] <br>"문제가 된 조개젓이 유통된 전국 20여개 식당에서 신용카드 결재를 했던 손님들은 모두 질병관리본부의 '신용정보 조회' 대상이 됐습니다." <br> <br> 질본 측은 감염병 예방법에 따라 '역학조사'를 하기 위해 개인 신용정보를 제공받았다며 왜 3개월 뒤 조회 사실이 전달됐는진 모르겠다고 설명합니다. <br> <br>[질병관리본부 관계자] <br>"반드시 그(조회) 시점에서 우리가 통보를 해주게 돼 있는데요. 왜 그런 착오가 있었는지 잘 모르겠어요." <br> <br>카드사에도 마찬가지입니다. <br> <br>[A카드 관계자] <br>"(정부에서) 법리적 요구가 와서 말씀드리는 거고요. 저흰 자세하게 알 수가 없어요." <br> <br> 개인 정보가 어디까지 제공됐는지 알려지지 않아 시민들의 분노와 불안감은 커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건영입니다. <br> <br>change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김용균 <br>영상편집 : 구혜정